애드블럭 종료 후 사이트를 이용해 주세요.

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공감은 지능이다 - 자밀자키
    인문학 2025. 8. 20. 14:42
    반응형

    공감은 지능이다 - 자밀자키

     

    이 책은 “공감은 타고나는 성향이 아니라 훈련 가능한 기술”이라는 논지를 신경과학·사회심리 실증으로 전개한다. 

    당신에게 공감을 개인 미덕이 아닌 사회적 역량이자 설계 가능한 시스템으로 보게 한다.

    프롤로그. 우리는 더 친절한 세계를 만들 수 있다

    • 문제의식: 공감의 쇠퇴 담론, 그러나 뇌와 태도는 변한다.
    • 개념 예고: 공감의 유동성(마인드셋), 환경·규범의 영향.

    1장. 인간 본성의 놀라운 유동성

    • 핵심 개념: 뇌는 가소적. 공감은 고정 특성이 아니다.
    • 기억할 점: 상황·훈련·신념이 공감 수준을 움직인다(성장 마인드셋).

    2장. 공감의 작동 원리

    • 핵심 개념: 감정은 구성된다. 우리는 공감을 선택하거나 회피한다.
    • 실천 레버: 넛지 설계, 관점전환 훈련, “공감 근육” 반복 사용.
    • 쟁점: 사이코패스 사례에서 보듯 맥락·보상에 따라 공감 반응을 유도 가능.

    3장. 증오 대 접촉

    • 핵심 개념: 접촉 가설. 구조화된 만남이 편견을 줄인다.
    • 조건: 동등한 지위, 공동목표, 제도적 지원, 반복성.
    • 통찰: “경계 강화 언어”를 줄이고 공동 정체성을 키우면 효과 상승.

    4장. 문학과 예술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

    • 근거: 연기·독서·서사 교류가 정서·인지 공감을 확장.
    • 사례: 집단 트라우마 치유, 수형자를 위한 독서 프로그램.
    • 적용: 스토리 기반 관점전환 과제, 되말하기 요약 훈련.

    5장. 지나친 공감의 위험

    • 구분: 공감적 고통(감정 전염) vs 연민(도움 지향).
    • 도구: 심리적 응급처치, 감정과의 협력(정서조절·마음 챙김).
    • 대상: 돌봄 직종 번아웃 예방은 시스템·교대·회복 리추얼이 핵심.

    6장. 친절이 보상되는 시스템

    • 초점: 전사형 치안에서 시민보호형으로. 규범·보상체계가 공감을 키운다.
    • 레버: 무관용 규범 재검토, 편향 완화, 공감 기반 훈육·평가.
    • 메시지: 시스템이 마음을 형성한다. 설계가 곧 공감 인프라.

    7장. 디지털의 양날

    • 그늘: 소셜 미디어의 왜곡, 익명성의 비인간화.
    • 빛: VR·감정명명(affect labeling)·소규모 실명 커뮤니티는 공감 증진.
    • 설계 팁: 맥락 추가, 느린 상호작용, 상호 공감 네트워크 강화.

    에필로그·부록

    • 에필로그: 공감의 미래는 선택과 훈련의 누적.
    • 부록 A/B: 공감 개념 정리, 근거 수준 등급화(주장의 증거 강도 공개).

    통합 정리

    『공감은 지능이다』는 공감이 천성이 아닌 ‘선택 가능한 기술’이라는 핵심 메시지를 다양한 연구와 사례를 통해 입증합니다. 

    우리가 의식적인 훈련과 사회적 노력을 통해 더 공감적인 개인과 사회를 만들 수 있음을 역설합니다.

    추천 독자

    • 공감의 중요성에 대한 학술적, 과학적 근거를 자세히 알고 싶은 독자
    •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, 구체적인 훈련법의 ‘사례’를 참고하고 싶은 독자

    마무리 평

    • 강점: '공감은 훈련할 수 있는 지능'이라는 신선한 관점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제시합니다.
    • 아쉬운 점: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사례를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하는 경향이 있어, 전체적인 전개가 더디고 핵심 메시지가 분산되는 느낌을 줍니다.

    메시지는 유효하나 편집 밀도는 약했습니다. 

    요점 위주 스킵리딩 하는 것도 추천합니다.

     

    ★★☆☆☆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